—31.07.2025
—06.12.2024
—15.11.2024
—04.20.2014
—04.20.2014
17 August 2025, Lausanne 6 August 2025, Lausanne 21 July 2025, Seoul 10 July 2025, Seoul 12 June 2025, Seoul 5 March 2024, Seoul 21 November 2023, Seoul
It turns out to be true: happiness makes writing difficult. For weeks I lived on encouragement and solace, and in my first steps with a new language, words and sounds rushed my blood to my head until it overloaded. I caught my breath, straightened my posture, took another step. The new signs and letters twisted my tongue and pressed my drifting heart back down to the ground.

Physics speaks of pressure. Pressure is the force exerted per unit area,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Simply put, the narrower the gap, the greater the pressure. It is like watering a garden when a tiny hole in the hose bursts, and the water shoots out under fierce pressure. One evening, returning from a picnic in the park, watering the lawn and pulling weeds, I thought: when newness dulls and turns into routine, a small weed pushes through the cracks in the covered concrete. Tough and dark, it breathes through the narrowest slit. Rainer Maria Rilke reminded me of love.

There is a breathing hole. Through the small opening, air flows in and out. The narrower the gap, the stronger the pressure, and with each repetition of breath, the suction grew immense. It drew in everything in the world until all went dark. Not a single ray of light remained. Only pitch-black darkness. And yet that world was both silent and radiant. Even through smell and touch alone, one could feel the brilliance.

Conversations with a lover arrive on a plate. To pierce, to press, to crush, to lift, to cut. What rests in the hand may be chopsticks, a fork, a spoon, a knife. On the plate, I ate joy; on the spoon, I squeezed out tears; with my fingers, I picked up the last emotions and tasted them at my fingertips. While cooking in the heat of summer, sweat carries the taste of salt.

Four meters by four meters. Mattress, desk, chair, wardrobe, radiator, mat and basket. History leaves its residue, small sediments of time. Receipts, boxes, postcards, books, dust, gifts. A swimsuit waiting to be washed. A flyer pressed into my hand on the street. A pornographic magazine left in the mailbox. A mat carrying the grass of the park. A pebble taken from the lake. A crow’s feather fallen onto the path.

From city to city. An inorganic world, the city is there. It is my space; I grew within the city, I breathe within the city. Even boarding a train is for moving from one city to another. Person to person. Gathering and scattering. Dulling of the senses. Great changes render small ones too subtle to notice. Forgetting. Not remembering. Erasure. Error. Regret. Confusion. Indifference. Coldness. The loss of identity. And yet, return.
행복하면 글이 잘 안 써진다는 것이 사실이었다. 사실 몇 주간 많은 격려와 위로를 받으며 지내왔으므로, 언어의 걸음마를 내딛으며 단어와 발음에 나의 피가 머리로 쏠려 과부하되던 시간들. 다시 숨을 내쉬고, 다시 자세를 고쳐 앉으며, 다시 걸음을 떼던 그 순간들. 나는 새로 쓰여진 간판과 글자가 나의 혀를 꼬이게 했으며, 붕 뜬 마음을 붙잡아 땅에 눌러 붙여 놓았다.

물리학에서는 압력에 관해 가르친다. 압력은 단위 면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하는데, 쉽게 말하면 틈새가 좁을수록 기압이 상당하다. 마치 정원에 물을 주고 있는데 어느 한 곳에서 터져버려 상당한 수압이 나오는 것과 같다. 공원에서 저녁 식사를 하고 집에 돌아오는 날, 정원에 물을 주고 풀을 뽑으면서 생각했다. 새로움이 무뎌지고 일상이 될 때, 덮여진 콘크리트 틈 사이로 작은 풀이 피어올랐다. 질기고 짙어서 작은 틈 사이로 숨을 쉬고 있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사랑을 다시 되새기게 해주었다.

숨 쉬는 구멍이 있다. 작은 구멍 사이로 공기가 내쉬어지고 들이마셔진다. 구멍의 폭이 좁을수록 기압은 상당했는데, 숨쉬기를 되풀이할수록 흡입력이 대단했다. 세상 모든 것을 빨아들여 암전이 되었다. 단 한 줄기의 빛도 남겨두지 않은 칠흑 같은 암흑이었다. 그 세상은 고요하고 찬란했다. 후각과 촉각만으로도 눈부심을 느낄 수 있었다.

연인과의 대화는 접시에 담겨 있다. 찌르고, 누르고, 으깨고, 퍼고, 뜨고, 집거나 자르는 일련의 행위들이 자극적이고 새롭다. 손에 쥐고 있는 것이 젓가락일지, 포크일지, 숟가락일지, 나이프일지. 접시 위에서 즐거움과 요란함을 곁들여 먹기도 하고, 숟가락 위에 눈물을 짜내기도 하며, 손가락으로 집어 먹으며 마지막 감정들을 손끝으로 맛보았다. 요리하기에 무더운 여름에는 땀이 짭짤한 맛이 난다.

4미터 곱하기 4미터. 매트리스, 책상, 의자, 옷장, 라디에이터, 매트, 바구니. 흘러가는 역사는 잔재들을 남겨 쌓이게 한다. 영수증, 상자들, 엽서, 책들, 먼지, 그리고 선물들. 빨래해야 할 수영복. 길거리에서 나누어 준 사이비 전단지. 누가 우편함에 두고 간 포르노 잡지. 공원의 풀들을 붙이고 온 매트. 호수에서 주워온 조약돌. 공원의 까마귀 깃털.

도시에서 자라나 도시로. 무기질 세계, 도시는 거기에 있다. 도시는 나의 공간이며 도시에서 자라나 도시에서 숨을 쉰다. 기차를 타는 것도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가기 위해서다. 사람이 사람에게. 모였다가 흩어짐으로. 감각이 무뎌짐으로. 큰 변화로 인해. 작은 변화는 알아차리지 못할 만큼 무뎌짐으로. 잊어버림으로. 기억하지 못함으로. 망각함으로. 착각함으로. 후회함으로. 혼란스러워함으로. 당혹스러워함으로. 무덤덤해짐으로. 냉정해짐으로. 정체성을 잃어버림으로. 그럼에도 다시 되돌아감으로.
I didn’t sleep a minute on the plane. Perhaps it was nerves; perhaps anticipation. The moment I saw my parents waving, I just broke down. Dad fretted about the weight of my luggage, mom looked calmer than I had expected. If I had known, I would have held her gaze a few seconds longer.

I got a bit lost at Zurich. Two massive suitcases, eyes glued to them the whole time. A couple of people helped me get on board, and only then did sleep hit me. I nodded off holding my luggage, until I woke over the quick, bird-like laughter of two girls behind me, speaking French. Outside, the landscape unfurled like the backdrop of an illustrated children’s book, endless fields receding to the horizon. Beyond them, the sunset was lowering itself into the lake, bathing in gold. The scene was so arresting that I felt my own existence in every cell of my body.

When I arrived, J was there to meet me. She was kind, with a smile that seemed entirely hers, and she walked me through the house. My room was larger than in the photos. When I stepped onto the floor, it gave a faint hollow echo. It opened onto a generous balcony, under a crescent moon that hung like a quiet embrace. I thought about morning yoga there, hanging laundry, or working on cyanotype prints. J pulled me out of my reverie, offering a warm cup of tea. We spoke briefly. I had little strength left, but I unpacked what I could and slept on the floor.

It happened to be Swiss National Day, so most stores were closed, but the flags felt like they were welcoming me instead. In the morning, S and I had coffee on the balcony. She said there’d be a party that night where we could watch the fireworks. Later, her friend G came by first,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taught me a handful of French slang. The only ones I remember: Ouais, Up up up, Putain. We spent a while comparing animal sounds in French and Korean. S looked so happy, it rubbed off on me. We drank and wandered over to a big park where fireworks lit up the night. That’s probably where I caught my cold.

The center of town was full of toy shops, sweet chocolate stalls, and cheese trucks. It was the day after a holiday, and the streets were busy. At the cheese truck, people sampled in small bites before buying. I had no cash, so just a feast for the eyes. I visited Circuit, where a Gregory J. Markopoulos exhibition was on view. The man in the office offered me coffee and kindly screened a film for me despite the projection having ended. Two reels: the left running forward, the right running backward. At a precise midpoint, the two screens met, the same scene appearing simultaneously, though one is inverted. It was Twice a Man (1963). He told me he teaches printmaking at ECAL, likely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given that he didn’t speak English. I should have asked his name.

I bought focaccia and made a sandwich at home. That night, sick, I ate chicken soup with the last of the burrata and a lettuce salad. I sliced ginger, buried it in sugar, and set it aside for syrup—a certain cure when a cold takes hold. On the worst days, when paperwork had me strung taut, I chopped onions, carrots, and celery nonstop. Later, it became a Bolognese, spooned over pasta or bread.

S went on vacation, and kindly offered me her bed, after a few nights on the floor under a thin blanket, it felt like luxury. With so many people away for the holidays, I thought I might buy a swimsuit and visit the nearby lake.

One evening, I met N, a school graduate, for a free French class in a park where a wide lawn sloped down to swimmers in the lake. The course met daily. I picked up a few phrases here and there. It wasn’t easy, but I caught myself quietly mimicking the teacher’s intonation. The wind moved gently, carrying words away. After class, N and I ate sandwiches and drank soda, watching the sun set. We spoke for hours. It had been a long time since I’d talked that much in English. N was a good listener, and kind.

Lausanne is a good city. Everything is within thirty minutes. Pedestrians have the right of way. If you meet someone’s eyes, they say bonjour. There are parks everywhere; if I saw a green lawn, I’d spread my towel and lie down. The sky is transparent, the wind off Lake Geneva keeps the air clean, and the sunlight feels softer here. On clear days, the horizon is framed by lake and mountain, the ceiling of the sky curving overhead, a thin band of cloud spreading through the rim of a dome. It is, simply, beautiful. After years confined to the smog of Seoul and the fumes of Jakarta, each day here feels like a little miracle.
비행기 안에서는 한숨도 자지 않았다. 긴장과 설렘였던 것일까? 부모님 앞에서 울었다. 아버지는 들고 갈 짐을 걱정하였고, 엄마는 생각보다 괜찮은 얼굴이었다. 이럴 줄 알았으면 몇 초라도 얼굴을 좀 더 봐둘걸.

취리히 공항에서 좀 헤맸다. 큰 이민 가방이 두 개였고, 상시 눈을 떼지 못한 상황이라 초긴장 모드였다. 몇몇 사람들이 도와줘서 간신히 올라탔고, 그제서야 잠이 쏟아졌다. 가져온 짐을 안고 졸았다. 뒷좌석에 정말 빠른 불어로 이야기하는 두 여자아이의 웃음소리에 깨어났다. 창밖은 동화 속에 나오는 끝없을 것 같은 밭이 펼쳐져 있고, 그 너머 뉘엿뉘엿 해가 지는 노을이 호수에 담가 목욕을 하고 있었다. 기가 막히게 아름다워서 내가 존재함을 온 세포로 느꼈다.

집에 도착하니 J가 마중을 나와 주었다. 그녀는 친절했고 미소가 예뻤으며, 나를 친절히 안내해 집 안 곳곳을 보여주었다. 내 방은 사진으로 보았던 것보다 크고 넓으며, 바닥에 쿵 하고 발을 내딛으면 살짝 울릴 정도였다. 나의 방은 넓은 발코니로 이어지며, 큰 초승달이 포근하게 감싸 안고 있었다. 여기서 아침 요가나 빨래 널기, 혹은 시아노타입 작업을 하기 좋겠다고 생각했다. J는 망상에 빠진 나를 불러 깨워 친절히 따뜻한 차를 건넸고 우리는 간단하게 이야기를 했다. 기력이 없었지만 최대한 짐을 정리하고 바닥에서 잠을 잤다.

마침 스위스 국경일이라 대부분의 가게들이 닫혀 있는 대신 창 밖에 걸린 스위스 국기가 날 환영해 주었다. 아침에 S와 발코니에서 커피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S는 저녁에 불꽃이 터지는 곳에 파티가 있으니 나를 데려가겠다고 했다. 그리고 저녁에 S의 친구인 G가 먼저 왔다. G는 초등학교 교사인데, 나에게 정말 많은 프랑스 은어들을 알려주었다. 기억나는 건 단 세 가지, Ouais, Up up up, Putain이다. 동물들이 어떤 소리를 내는지 불어와 한국어로도 한참을 이야기했다. S는 정말 행복해 보여서 덩달아 기분이 좋았다. 친구들과 취해서 같이 파티와 불꽃놀이가 펼쳐지는 넓은 공원으로 갔다. 여기서 감기가 걸려버렸다.

중심가는 많은 장난감 가게와 달달한 초콜릿, 치즈 트럭이 있었다. 연휴 다음 날이라 사람들도 많았는데, 치즈 트럭에서 많은 사람들이 조금씩 맛보고 사 갔다. 나는 아직 현금이 없었으므로 그림의 떡이었다. Circuit 갤러리도 다녀왔는데, Gregory J. Markopoulos 전시를 하고 있었다. 사무실에서 일을 보고 있던 주인은 나에게 친절히 커피를 내어주고, 내가 요청하자 상영 기간이 지났음에도 영화를 틀어주었다. 두 필름이 있으며, 좌측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우측에는 끝에서 처음으로 상영되며, 중간 지점에서 같은 장면이 맞닥뜨리는 그런 작업, Twice a Man (1963)이었다. 커피를 내어준 분은 ECAL에서 판화 전공 교수님이었다. 영어를 못하시는 거 보니 학사 교수인 것 같았다. 그에게 이름을 물어보았어야 했는데!

포카치아를 사서 집에서 샌드위치를 만들어 먹었다. 아파서 밤에는 닭곰탕을 남아 있는 부라타 치즈와 상추 샐러드와 곁들여 먹었다. 생강을 잘라 설탕을 듬뿍 넣은 다음 생강청을 만들었는데, 감기 걸렸을 때 특효약이다. 서류 준비로 스트레스가 쌓였던 날에는 양파, 당근, 샐러리를 미친 듯이 다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이후에 훌륭한 볼로네제 소스가 되었다. 스파게티나 빵 위에 얹어 먹었다.

S는 휴가를 떠났다. 고맙게도 그녀는 친절히 그녀의 침대에서 잘 수 있도록 내어주었는데, 며칠간 얇은 이불을 덮고 바닥에서 잠을 잤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휴가를 떠나 있었으므로 나도 수영복을 사서 근처 호수라도 나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녁에는 연락하던 학교 선배 N과 프랑스어 수업을 들으러 갔다. 넓은 잔디밭과 수영하는 사람들이 보이는 공원 한가운데서 수업을 하는데, 심지어 무료다. 매일 강좌가 열려서 함께 몇 마디를 나누며 프랑스어 표현들을 알아간다. 쉽지 않지만, 자꾸 선생님 말투를 작은 목소리로 흉내 내는 나를 발견한다. 바람이 솔솔 불어서 많은 단어들이 스쳐 지나간다. 끝나고 N과 샌드위치와 소다를 먹으며 해지는 노을을 보았다. 우리는 오랜 시간 대화를 나누었다. 이렇게 오래 영어로 대화를 나눈 것이 오랜만이었다. N은 좋은 리스너이며 정말 착하다.

로잔은 정말 좋은 도시다. 모든 것이 30분 거리 내에 있으며, 길을 걸어도 보행자가 우선, 눈을 마주치면 봉주르 인사한다. 무엇보다도 근처 공원이 정말 많으며, 나는 초록 잔디가 보이면 수건을 깔고 누웠다. 하늘은 투명하며, 레만호의 바람이 공기를 맑게 한다. 햇빛은 더 부드럽고 투명하게 느껴진다. 맑은 날은 수평선이 호수와 산으로 둘러싸여, 하늘의 천장이 곡선을 그리듯 얇은 구름층이 대기 돔처럼 느껴진다. 기가 막히게 아름답다. 매연 연기의 자카르타와 미세먼지 서울에 갇혀 있던 나로서는 정말 매일 하루가 기적 같다.
I was once asked why I spend so much time with letters—shaping them, drawing them, obsessing over them. It sounded like a question about difficulty, but I took it as something else: When did all this begin? It reminded me of a scene from the Korean historical drama Deep-rooted Tree, where one of the characters, playing King Sejong, the 15th-century ruler who created the Korean alphabet, Hangul, asks: Why bother making letters at all?

For me, it comes down to control. I started editing texts because I was reading books. I began drawing letters because I was typesetting. When I explain it this way, most designers seem to understand. Many have taken a path not so different from mine. The trials and searching, the frustrations and occasional joys—these are not mine alone. There was a time when I consumed typefaces purely for pleasure. It was a brittle kind of joy, easily broken by mood or circumstance. Type can feel like fragmented pleasure, fragmented language, fragmented culture, engaged with through an unripe gaze. But the fabric created through typesetting, through the interweaving of text, becomes a structure that undoes its maker. Like a spider spinning silk from its own body, the designer dissolves into the work. To shape letters is to share a fundamental premise—and with it, invite a cascade of questions. Letters without feeling. Letters with no readable structure. Letters whose forms resist recognition. Even without peeling back the surface of daily life, we experience reading and writing as physical acts.

Between deep focus where time seems to compress and the drift of meaningless time, I can go without food or sleep, revising endlessly. My first teacher in type was the study guide. I once believed the curve of a letter came from logic and planning. But more often, it comes from muscle and repetition. To build muscle, to train visual precision, is to learn to see what is white and what is black, to organize inside a binary that I often find uncomfortable. It’s a space where control and chance are always colliding. I work in that ignorance, too. When a single line is drawn across a page, most people can’t tell whether the space above or below feels bigger. The decisions come from what the body remembers, what the eye remembers. Our brains are built to interpret visual cues in ways that help us relate and respond. When we see a letter drawn by someone from another culture and it feels off, that reaction comes from accumulated memory. What we’ve seen becomes the memory of our muscles.

Some say letters should tell a story. Others argue we already have enough serif typefaces. So why make more? That’s like saying we don’t need new songs because there’s already good music. Letters reflect the sensibility of their time. They shape it, and they question it. The era of mass-produced, factory-style letters is over. Those nameless, contextless shapes no longer serve anyone’s language. A letter is born in the space between personal sensibility and historical response. It always arrives late, and yet it’s the first to arrive. That’s why we still need it. That’s why it still feels new.
글자를 왜 그리냐고 나에게 묻는다. 마치 왜 그 험한 길을 택했느냐는 뜻도 되겠지만, 나는 이 질문을 언제부터 글자를 그리고 있었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이해했다. 이때 문득, 역사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서 윤제문이 체념한 표정으로 던지던 대사가 떠오른다. 왜 글자 따위를 만드는지에 대한 의문부터 다시 제기할 수밖에 없다. 나는 이것이 제어점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다 보니 글을 편집하게 되었고, 조판을 하다 보니 글자를 그리게 되었다고 말하면 웬만한 디자이너들은 이해한다. 그들도 나와 크게 다르지 않은, 제법 비슷한 길을 걸어왔기 때문이다. 모든 모색과 좌절, 혹은 기쁨은 결코 내 자신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한때는 단순히 활자를 읽고 해소하던 시기가 있었다.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쪼개지는, 부스러지기 쉬운 즐거움이었다. 활자는 조각난 즐거움, 조각난 언어, 조각난 문화다. 덜 성숙한 시각에서 행해진다. 텍스트의 짜임을 통해 작업하는 이 직물은, 마치 거미줄을 만드는 분비액을 토해 내며 자신을 해체한다. 글자를 구조화한다는 그 근본 조건을 공유한다면, 수많은 의심과 질문을 낳는 글자들이 떠오른다. 정서를 찾을 수 없는 글자, 어떤 구조인지 이해할 수 없는 흐름, 정확히 무슨 글자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것들. 일상의 표면을 파헤치지 않더라도 우리는 읽기와 쓰기를 체감한다.

훈련을 통해 시간을 압축하는 몰입과, 그저 흘러가는 시간의 무의미함 사이에서, 밥도 안 먹고 잠도 안 자고 끝없는 수정을 계속하게 된다. 내 글자 스승은 참고서였다. 활자의 곡선도 계획과 이성의 산물이라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근육과 반복의 산물이었다. 예리한 근육을 키워내는 것, 시각적 예리함을 갖는다는 것은, 무엇이 흰색이고 무엇이 검정인지 구분하는 일이며, (불쾌하지만) 이분법적 체계 안에서 조직하는 일이다. 생각보다 우연성과 통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나는 또 그런 무지함 속에서 작업한다. 수평선이 그어졌을 때, 위쪽 공간이 넓은지 아래쪽 공간이 넓은지 알 수 없다. 수치로 나눌 수 없는 감각, 몸이 기억하고, 눈이 기억하는 자극체를 따라 우리는 선택을 내린다. 감각을 가진 인간의 뇌는 자신이 인지한 시각을 번역해 공감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외국인이 그린 글자를 보며 어색하게 느끼는 것은 자국민의 누적된 감각 때문이다. 우리가 목도한 것들은 우리 근육의 역사가 되었기 때문이다.

글자에는 좋은 스토리텔링이 있어야 한다, 세리프체는 이미 충분하다. 이런 말들이 자꾸 생각난다. 마치 좋은 음악이 이미 세상에 넘쳐나니 더는 새로운 곡이 필요 없다는 말처럼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글자는 그 자체로 시대의 감각을 반영하고, 만들고, 다시 질문하는 도구다. 공장에서 찍어낸 듯한 글자들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이름도 맥락도 지워진 채 쏟아져 나오는 잉크의 부산물들은 더 이상 누구의 언어도 되지 못한다. 글자는 개인의 감각과 시대의 응답 사이에서 태어난다. 늘 늦게 도착한 것이면서도, 가장 먼저 도착한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글자는 여전히 필요하고, 여전히 새롭다.
I went to Japan with guys from our publisher. Though we stayed in Osaka, we made a point of going to Kobe twice. The weather was sweltering. I wrapped a scarf around my head and carried a thermos in hand as I walked. The sun bore down mercilessly, and sweat trickled down the back of my neck, slowly soaking my T-shirt.

We walked nearly 20,000 steps each day, yet proper meals were rare. Our schedule was packed, and there were many shops to see. Most restaurants in Kobe closed early after lunch, so we often grabbed Onigiri and side dishes from Seven Eleven and stuffed them into our mouths. Strangely, the taste suited me. The chill of just-unwrapped food, its moistness and salt, made for an oddly comforting combination.

Cigarettes are still allowed in old Japanese cafés. A café au lait with Yakisoba or toast, and a cigarette afterward. The air carried the musty laughter of a dated radio comedy, slightly offbeat. We talked endlessly about things we could barely remember.

At a dishware store, I bought a silver elephant-shaped ring and a tin lunchbox meant for mountain use. One was made in the U.S., the other in Vietnam. They were the kind our parents might have used in their school days—thin metal boxes warmed on old stoves. The unfinished surface was cool and dangerously sharp at the edges. A flawed practicality. Wooden lunchboxes are hard to clean, and silicone or plastic ones feel tacky by comparison. As we left the shop with our arms full, the owner ran after us and pressed a small toy into each of our hands—steel figurines of Clinton and Dole throwing punches. It was the 1996 U.S. presidential election, the year I was born.

We also stopped by a shop called Epoch. The store’s atmosphere reminded me of Heavy Duty by Yasuhiko Sobayashi. Fishing rods and mountaineering packs leaned against the walls—serious gear. I had no real interest in the activities, but touching the fabrics and materials alone was satisfying: the crispness of nylon, sturdy buttons, the softness of fleece, the tightness of the weave. In Korea, my size is either unavailable or too large, but here, jeans and shoes fit me perfectly. I bought a loose gray sweatshirt and Levi’s 550 jeans. They were basic items, but I doubted I’d find this fit anywhere else.

We chatted with R, the shopkeeper. Though we were uninvited guests from Korea, he was kind. We later found out he and I were the same age, and talked among ourselves about how cute he was. He handed us chilled Asahi beer. In the damp heat, it went down like water. Only then did I notice the sound of metal clattering above us—the tracks rumbling over the shop.

Dinner was at a bar known for wild boar and smoked mackerel. P and U ordered beer, and I asked for whisky. The mackerel was excellent. It reminded me of gwamegi, a dried blue fish I often ate as a child when visiting my father's hometown. I’ve always liked oily fish. Luckily, U—who’s from Yeosu, the seaside town—felt the same. “What fishy smell?” she said, enjoying every bite.

While tuning out a neighboring table’s Japanese chatter, I noticed a familiar, understated label—it was Nikka whisky, the same kind recommended by the owner of bar scarf in Seoul. I went out afterward, hoping to buy a bottle at a nearby liquor store, but couldn’t find the exact one. Worse, a loquacious middle-aged man had followed us all the way from the bar, and it took effort to shake him off.

The liquor shop owner, though busy, was friendly. Half-empty bottles lined the shelves, and if you ordered, he would decant 100ml into a small bottle, handwrite the label, and seal it for you. Macallan, Dalmore, Lagavulin—you could try them all in small doses. If that place had been near my home, I’d have been in trouble. I’d go every day. In the end, I bought a bottle of Kanosuke Peated.

On the train back to the hotel, I took out a book I’d picked up at a bookstore. It was a Spanish translation of a book by Sophie Calle, a gift for my friend J. Sophie Calle is remarkable. Her tenacity as an observer borders on the obsessive. She slips through cracks, sees where others don't. Buying a Spanish-language book by a French author in Japan to gift to a Korean friend—it suddenly hit me that this is the kind of era I’m living in.

The second gift for J was a worry doll from Guatemala. A piece of Mayan folk tradition, it’s a tiny wooden figure the size of a finger joint. Children whisper their worries to it before bed and place it under their pillow. By morning, the doll is said to have taken the worry away. I hope she’ll need it.
오사카와 고베를 출판사 식구들과 다녀왔다. 숙소는 오사카였지만, 고베에는 일부러 두 번이나 들렀다. 무더운 날씨에 머리에 두건을 둘러쓰고, 보온병을 손에 쥔 채로 걸었다. 태양은 매섭게 내려쬐었고, 뒷목을 타고 흐른 땀은 티셔츠를 천천히 적셨다. 매일 2만 보 가까이 걸었지만, 제대로 된 식사는 드물었다. 일정은 촘촘했고, 둘러봐야 할 가게들이 많았다. 고베의 식당들은 대개 점심 시간이 지나면 문을 닫았기에, 우리는 편의점에서 오니기리와 반찬거리를 사서 입에 욱여넣었다. 입맛에 잘 맞았다. 방금 꺼낸 찬 음식의 습기와 염도, 무심한 조합이 좋았다.

일본 다방은 여전히 담배를 피울 수 있다. 카페오레에 야키소바나 토스트를 곁들였다. 실내엔 묘하게 낡은 웃음소리가 떠다녔다. 어딘가 어긋난 개그 라디오가 흘러나왔고, 우리는 기억도 나지 않을 이야기들을 끝없이 이어갔다.

그릇 가게에서는 코끼리 모양 은반지와 산악용 양철 도시락통을 샀다. 하나는 미국산, 다른 하나는 베트남산이었다. 마감이 덜 된 금속은 얇고 가볍고 차가웠다. 자칫 손이 베일 수도 있는, 얇은 탄성의 금속판. 허술하고 실용적이다. 나무 도시락은 씻기 어렵고, 실리콘과 플라스틱은 어쩐지 촌스럽다. 우리가 한껏 물건을 쓸어 담고 가게를 나서자, 사장님이 뛰어와 장난감을 하나씩 손에 쥐여주었다. 빌 클린턴과 밥 돌이 주먹을 내지르는 조악한 장난감. 1996년 미국 대선을 떠올렸고, 내가 태어난 해였다.

에포크에도 들렀다. 가게의 분위기는 소바야시 야스히코의 『헤비 듀티』라는 책을 떠올리게 했다. 낚싯대와 산악 가방이 벽에 기대어 있었고, 멋진 것들이었다. 본격적인 관심은 없었지만, 옷감과 부자재를 만져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거웠다. 바스락거리는 원단, 단단히 박힌 단추, 복슬복슬한 털, 짜임의 밀도. 한국에서는 내 사이즈가 없거나 거의 다 컸는데, 이곳엔 내게 맞는 청바지와 신발이 많았다. 회색의 낙낙한 맨투맨과 리바이스 550을 샀다. 평범한 옷이지만 이 핏은 여기서 아니면 못 찾을 것 같았다.

가게를 지키던 R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한국에서 온 불청객들일 텐데도 그는 친절했다. 알고보니 나와 동갑이었고 우리는 그가 꽤나 귀엽다는 이야기를 했다. R는 우리에게 차가운 아사히 맥주를 내주었고, 습한 날씨 덕분에 맥주는 미끄러지듯 넘어갔다. 그제야 가게 위를 지나는 선로에서 쇠붙이가 덜컹이며 지나가는 소리가 귀에 들렸다.

저녁은 멧돼지나 고등어 훈제를 파는 식당에 갔다. 동료는 맥주를, 나는 위스키를 시켰다. 훈제 고등어는 훌륭했다. 아버지 고향에서 어릴 적 자주 먹던 과메기가 생각났다. 나는 푸른 생선을 좋아한다. 다행히 함께 간 U도 여수 출신이라 "비린내가 뭐죠?" 하며 잘 먹었다. 옆자리 일본어 대화소리를 배경음악처럼 듣고 있는데 익숙한, 절제된 라벨이 눈에 들어왔다. 서울의 스카프 가게 사장님이 소개해준 닛카 위스키라는 걸 떠올렸다. 같은 병을 사기 위해 근처 주류 판매점까지 갔지만, 똑같은 걸 구할 수는 없었다. 주류점까지 불청객인 말 많은 오지상 아저씨가 붙어서, 겨우 떼어내느라 애를 먹었다.

주류점 주인장도 바빠보였는데 친절했다. 이미 반쯤 마신 술병들이 진열돼 있었고, 손님이 주문하면 100ml씩 소분해 공병에 담아주었다. 흰 라벨 위에 위스키 이름을 손으로 적어 붙인다. 맥켈렌, 달모어, 라가불린을 조금씩 맛볼 수 있다니. 집 근처였다면 큰일 날 뻔했다. 아마 매일 갔을 것이다. 결국 나는 카노스케 피트 병째로 구입했다.

숙소로 돌아가는 열차 안에서, 서점에서 산 책을 꺼내 읽었다. 친구 J에게 줄 소피 칼의 책, 스페인어 번역본이다. 소피 칼은 대단하다. 관찰자로서의 집요함은 때로 소름끼친다. 그녀는 빈틈을 용케도 파고든다. 스페인어로 쓰인 프랑스 작가의 책을 일본에서 사서 한국인에게 선물한다는 것이,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시대라는 걸 문득 실감했다.

책과 함께 J에게 줄 또 다른 선물은 과테말라의 걱정 인형이었다. 마야 전통에서 유래한 민속 인형으로, 손가락 마디만 한 작은 나무 조각이다. 어린아이는 이 인형에게 하루의 걱정을 말한 뒤 베개 밑에 넣고 잠든다. 그러면 인형이 밤새 걱정을 가져가준다고 믿는다. J에게 정말 필요했으면 좋겠다.
Summer in Seoul is thick and heavy. But luckily, by the time I leave, I’ll be heading somewhere cooler. I’ve started getting ready for school. I’ve found a place to stay, and my embassy interview is in two weeks. My flight to Zurich is already booked. I’ve also begun studying French. Every morning, I turn on RTS, the Swiss public radio. I can barely understand the news, but I keep it on anyway. Swiss French sounds different from standard French—it’s firmer, more deliberate, like it's trying not to miss a single letter. I’m glad I know a little German; it helps. But French, especially the pronunciation, really tests your patience.

Right now, French is my weakness. Back in middle school, it was English. I remember a boy from Indonesia mocking my accent, and our teacher chuckling from behind. I think that’s when I first became overly sensitive about pronunciation whenever I learn a new language.

Even in the middle of summer, the embassy didn’t have the air conditioning on. I don’t sweat easily, so I just chugged the bottle of water I’d brought. People waiting in front of me were fanning themselves and shot me looks, as if asking me to agree with their discomfort. My turn came quickly. The woman at the counter asked about my background. I told her about my father’s job at a shoe factory under the blazing sun, and said I’m grateful to have the chance to study. When I asked if there was any way to speed up the visa process, she changed her expression and said dryly, There is no fast track. Still, the embassy building was beautiful.

An email came from Matthieu, the head of the program. It was quite long. A detailed list of tools and papers for the first class, along with a reading list. You could tell how carefully it was written.
— 01. Pilot Parallel Pen. You can get a set with multiple sizes, but it’s not required. Depending on the size of your lettering, certain pens may feel more natural in your hand. Similar tools from other brands are fine too.
— 02. A3-size loose sheets. The paper should have a smooth surface that won’t bleed ink. It doesn’t need to be expensive—just test it out beforehand.
— 03. A 30cm ruler, pencils, and an eraser.
— 04. A3 tracing paper sheets. Make sure it’s transparent enough.
— 05. Whatever pens and pencils you personally prefer.

I’ve already read several of the books—about twenty of them are coming with me. Bringhurst, Potter, Hochuli, Gill, Winger, Noordzij, Kinross. My bag is going to be heavy. I can always buy more books once I’m there, but carrying them across Zurich’s train station feels like a bad idea waiting to happen. Maybe I should scan them instead. What a mess.
서울의 여름은 끈적이고 무겁다. 하지만 내가 떠날 무렵엔, 다행히 조금은 시원한 곳으로 가게 될 것 같다. 학교 갈 준비를 하고 있다. 머물 집도 구했고, 보름 후엔 대사관 면접이 있다. 취리히행 비행기 표는 이미 끊었다. 불어 공부도 시작했다. 아침마다 RTS를 튼다. 스위스의 공영 라디오다. 흘러나오는 뉴스는 거의 못 알아듣지만, 그냥 켜둔다. 프랑스 불어와 스위스 불어는 억양이 다르다. 스위스식은 더 단단하고, 마치 모든 철자를 놓치지 않으려는 듯 조심스럽다. 독일어를 조금 알아둔 게 그나마 다행이다 싶다. 불어 발음은 사람을 시험에 들게 한다. 지금은 불어가 내 약점이다. 중학생 땐 영어가 그랬다. 내 발음을 놀리던 인도네시아 아이가 떠오른다. 선생님은 어깨너머로 비웃고 있었다. 내가 외국어를 배울 때 발음에 유난히 예민해진 건 그때부터였던 것 같다.

한여름인데 대사관에는 에어컨을 틀지 않았다. 나는 땀이 잘 나는 편이 아니라서 가져온 물을 냅다 들이켰고, 내 앞 순서 사람들은 손부채질을 하며 덥지 않냐고 나에게 눈길을 보내며 불만을 표했다. 내 순서가 왔다. 대사관의 여성은 나의 배경에 관해 물었다. 아버지가 태양볕에서 근무했던 신발 공장에 대해 이야기했고, 공부할 수 있음에 감사하다고 전했다. 비자 발급을 빨리 받을 수 없냐는 질문에 얼굴을 싹 바꾸며 There is no fast track라고 건조하게 답변했다. 대사관의 건물은 아름다웠다.

학장 매튜에게서 이메일이 왔다. 제법 길었다. 첫 수업을 위한 도구들과 종이들, 그리고 읽어야 할 책 목록. 세심하게 작성된 게 느껴졌다.
— 01. 파일럿 패러렐 펜. 다양한 크기로 구성된 세트도 가능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글씨 크기에 따라 손에 더 잘 맞는 도구가 있을 수 있으니, 여러 크기의 캘리그래피 도구를 갖추는 것도 좋다. 다른 제조사의 유사한 도구도 괜찮다.
— 02. A3 크기의 낱장 종이 묶음. 잉크가 번지지 않을 만큼 표면이 매끄러운 종이여야 하며, 직접 테스트해 보는 것이 좋다. 비싸거나 고급일 필요는 없다.
— 03. 30센티미터의 자, 연필, 지우개.
— 04. A3 크기의 트레이싱 페이퍼 낱장 묶음. 충분히 투명한 것.
— 05. 본인이 선호하는 다양한 종류의 펜과 연필.

책은 이미 여러 권 읽었다. 그중 약 스무 권쯤은 챙겨갈 예정이다. 브링허스트, 포터, 호홀리, 에릭 길, 윙어르, 노르트제이, 로빈 킨로스. 가방이 꽤 무거워지겠지만. 책은 가서 더 사면 되고. 이 벽돌들을 어쩐다. 취리히 기차역에서 끙끙대면서 가져갈 생각에 끔찍하다. 이걸 스캔해서 가져가야 할까. 큰일이다.
J, who had just returned from Nepal, fake-proposed to me with a jewelry box. She told me stories from her trip—about a dog named Puntu who lived in a village, and a night she spent in the Himalayas. J has a gift for words, both spoken and written. She mentioned a dumpling called momo, which is common in the Himalayas. I’d love to make dumplings with her and hear even more of her stories.

While tidying up my bookshelf, I came across a letter that M had given me for my birthday. The card was decorated with exotic patterns—it must have been paper she brought back from her recent trip to Yogyakarta. The handwriting inside was filled with gratitude and tenderness. The rhythm of the sentences swayed gently, like the palm trees of Java in the breeze.
네팔에 다녀온 J는 나에게 보석함 주며 프로포즈 하였다. 그녀에게서 네팔 여행기를 들어볼 수 있었는데 마을에 지내던 뿐뚜라는 이름의 강아지와 히말라야에서 지냈던 하룻밤 등 재미난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었다. J는 글도 말도 맛깔나게 하는 재주가 있다. 히말라야에는 모모 라는 만두가 있다던데. J랑 만두 빚으며 더 많은 이야기를 듣고 싶다.

책장을 정리하다가 M이 생일 선물로 준 편지를 꺼내어 읽었다. 편지지는 이국적인 문양이 그려져 있었는데 최근 족자 여행에서 들여온 종이란 생각이 들었다. 편지 안에는 고맙고 애틋한 글씨체가 쓰여 있다. 문장의 호흡이 족자의 야자수처럼 바람결에 흔들린다.
A memory derived from a room where I once took a nap. Lying on the floor with my eyes closed, I recalled the space in a faint state of consciousness. I remembered an image of the room and found my body naturally curled into the space between towering bookshelves. The shelves, over ten feet tall, loomed three times higher than my six-year-old self. At that illiterate age, I was used to looking up at these towers, their spines engraved with mysterious letters. Surrounded by walls where books opened like rib cages, exposing their spines, I was both beneath the wall and within it. The memory lingers with scent—confined by the shelf and the chill of the floor. The smallest details, like dust gathering on the shelves, remain vivid.

Later, I moved the bookshelf to a one-story room where I could lie in bed and gaze at it all night. I’d repeatedly read the authors and titles on the shelves. On days of fatigue, when my eyes could barely stay open, I’d try to read a section—even backwards. This routine became a cycle; I read back and forth, as though rehearsing along the rails of a swimming pool. Spine reading became an exercise in stillness—reading with the eyes alone. My lips would move for a deeper dive, then pause while my eyes followed the lines of text and titles. Reading silently with the eyes created a profound stillness. Even after I looked away, the silence stayed with me.

Some read meticulously; others obsessively. Any text that’s overanalyzed tends to lose its rhythm. Yet there’s a rhythm of its own in scanning train schedules or Excel tables. Titles on spines are usually nouns or fragmented phrases. Though partial or incomplete, they’re easier to imagine—allowing the mind to fill in the rest. As I read a title, the words would arrange themselves in rows. Humans, translating thought into language, approach the world linearly. Their lips move, and the world unrolls before them. Slowly, the words hover in sound while lists of titles fold the logical mind into geometric origami. Like frost blooming on a windowpane, images spread across the mind. Linear thinking, with its clear start and end, binds one thought to the next.

Books sit side by side, carefully aligned. But I often wonder—what if they weren’t? I find myself rearranging the shelf, thinking about the right place for each book. The upper shelves meet my eye level, so I place the most-used books there. Those on the lower shelves require me to bend down—an act that invites quiet humility. Adjusting my gaze to match a book’s position reminds me how essential it is to arrange books in a way that reflects their owner. Some books lie unfinished, their pages spread slightly open in the gaps. I sort them into categories: tangible or ephemeral, single sheets or bound volumes, thick or thin, authored or anonymous, published or self-made, original or reproduced, light or heavy.

Small items sprout between the books—postcards, bookmarks from book fairs, concert tickets, letters, stickers, scribbled notes, gallery leaflets, and Christmas cards. There are countless ways to organize a bookshelf: count the books in a row, group them by color, recall the authors, notice the publisher logos, think about the binding, translate titles into your language, distinguish horizontal from vertical text, skim the first and last letters, picture an invisible slope running along the tops, identify fonts, and look for exceptions.

I long for a stable, fixed, unmoving bookshelf. But such a thing doesn’t exist—not as long as books are being opened, closed, shifted, and replaced. A bookshelf that resists its function is no longer a wall. It becomes a shifting wall—a wall of memories. After dusting the surface and aligning the books, I took a photo to capture the moment. Books photographed through a lens reveal a kind of exhibitionist impulse—like glimpsing a neighbor’s life through a rear window. Spine reading doesn’t simply preserve the past. It’s not just a record; it’s a ritual that releases tension and creates stillness, filled with new titles.
낮잠을 자던 방에 어떤 특별한 기억이 있다. 눈을 감고 방바닥에 누우면 최소한의 기억만으로 장소에 대해 떠올릴 수 있었다. 방 곳곳의 세세한 기억이 떠오르는데, 책장과 책장 사이에 틈이 있었으며 적당히 부엌과도 멀어져 있어 홀로 조용히 있을 수 있는 공간이었다. 나를 둘러싼 책장을 바라보며 누웠다. 책장은 여섯 살의 몸보다 세 배에 달하는 커다란 성벽이었다. 글을 읽지 못하는 나이이나 글자가 새겨진 벽을 마주하는 일이 익숙했다. 높은 책장은 곧 벽이다. 벽에 의해 만들어진 구별은 중요하다. 벽은 책등을 내보이며 나를 둘러싸고 있었다. 나는 벽 뒤에서 거주하는 사람이며 벽 안에서 경험하는 사람이다. 기억은 바라진 책 냄새에, 책장의 비좁음의, 방바닥의 차가움에 너무 강했고 하찮은 기억은 늘 책장에 꽂혀있다.

작은 방 한 칸으로 책장을 옮겼다. 침대에 누우면 바로 책장을 마주 볼 수 있게끔 배치해 두었다. 누워서 주로 하는 일은 꽂혀있는 책 저자와 제목을 읽는 것이다. 피곤하여 눈꺼풀이 감기는 날이면 책장 한 줄만 읽었다. 그리고 거꾸로도 읽었다. 매일 같은 수영장의 레일에서 왕복으로 헤엄치듯 번갈아 가며 읊었다. 책을 펼치지 않고 책등만 바라보는 것은 눈으로 읽는 운동이다. 우선 몰입을 위해 입술을 움직인다. 입술이 소리내기를 멈춘 뒤에도 눈이 선형적인 텍스트를 따라 움직인다. 눈이 제목을 따라간다. 눈은 자신만의 침묵을 창조한다. 책장에서 눈을 떼고 침묵을 응시한다. 침묵을 관찰한다기보다는 침묵이 나 자신을 관찰한다.

전문가적인 독서를 하는 분이 있는가 하며 읽기에 중독된 사람들이 있다. 목록으로 이루어진 텍스트는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문장 특유의 리듬을 가질 수가 없다. 책등 제목은 주로 명사나 완결되지 않은 구의 형태를 띤다. 이런 미완결의 단편적인 조각 가지고도 충분히 상상을 끌어낼 수 있다. 기억 속의 정보를 끌어내서 단편적인 조각을 증대시킨다. 책장의 꽂힌 책 제목을 읽어내릴 때, 머릿속에 단어가 줄지어 유영한다. 언어를 통해 사유하는 대부분의 인간은 선형적인 방식으로 세상을 대하는데 생각의 입술이 움직일 때 눈앞에 세계가 지나간다. 흐름 속에서 제목 조각은 나의 소리를 통해서 이어졌다. 사고가 단어의 나열이 아닌 도형의 형태로 펴짐을 경험한다. 창문에 스미는 성에처럼, 마음속 눈앞에 이미지가 번진다. 그 이미지 속에는 첫 글자와 끝 글자가 포함돼 있다. 처음과 끝이 있을 것 같은 선형적 사고는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책들이 서로 나란히 붙어 있다. 그것들은 줄지어 서 있다. 책들이 줄지어 꽂혀 있는 것은 예정된 일이며, 줄지어 있지 않다면 책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상상한다. 이따금 책장에 관심을 두고 관찰하기. 책을 어떤 순서로 꽂을지 고민한다. 책장 층을 바라본다. 상단 층은 눈과 손이 닿는 높은 높이에 있어 자주 꺼내보는 도서를 꽂는다. 하단 층은 몸을 구부리고 책을 꺼내야 한다. 가장 낮은 자세로 책을 마주할 수 있다는 점이 느긋하고 겸손하다. 내가 응시하는 눈의 높이와 책이 꽂힌 위치를 조정한다. 책이 몇 층에 살고 있는지가 책장 주인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데 책등을 마주하는 사람의 자세를 바꾸기 때문이다. 읽고 있는 책은 아직도 펼쳐있다. 펼쳐진 책은 아직 읽고 있음을 뜻하는데 이들은 책장에서 보이는 빈틈의 공간에 비좁아 들어간다.

책과 책이 아닌 것의 구분. 낱장인가 제본된 형태인가에 대한 구분. 얇은 것이냐 두꺼운 것이냐에 대한 구분. 저자가 분명히 존재하는지 부재하는지에 대한 구분. 출판사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구분. 원본인지 복사본인지에 대한 구분. 가벼움과 무게에 대한 구분. 책과 책 사이에는 작은 잡초처럼 숨어 있는 이들을 볼 수 있는데 도서전에서 받은 엽서나 책갈피, 작년 시향 콘서트 티켓, 친구과 주고받은 편지, 스티커, 낙서한 노트, 저번 주 다녀온 대안공간 전시 리플렛, 흥에 겨워 찍은 즉석 사진 몇 장. 책들을 분류하기 — 한 줄에 꽂힌 책 세어보기. 책 표지 색 구별하기. 책등에 쓰여 있는 것을 읽기. 책등에 출판사 로고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책 제본 형태 확인하기. 책등에 적힌 저자 이름 읽어보기. 책등 제목이 가로쓰기인지 세로쓰기인지 확인하기. 책 제목 앞 글자만 읽기, 뒷글자만 읽기. 책 키에 따라 가상의 선 그려보기. 책 제목에 쓰인 활자 찾아보기. 예외를 찾아내기.

나는 안정되고, 고정되고, 움직이지 않고, 변함없는 책장이 존재했으면 한다. 책은 펼쳐지고 덮어지고 꽂히고 이동하기를 반복하기에 실제로 이런 책장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용도와 목적에 반하는 책장은 그냥 벽이 아니다. 움직이는 벽이며 내가 기억하는 벽이다. 먼지를 털어내고 책을 일렬로 맞추고 나면 층별로 전시된 책등 사진을 찍었다. 렌즈로 투사된 책등은 마치 건너편 살고 있는 이웃을 관찰하는 책장 주인의 엿보기와 전시적 심리이다. 책등 읽기는 과거에 머물지 않는다. 책등 읽기는 과거 기록을 거슬러 올라가는 행위가 아니다. 책등 읽기는 긴장으로 포화된 머릿속을 멈추게 하는 운동으로 충격을 가하게 하고 이미지로 남는 운동이다.